본문 바로가기
스타

비 깡 , 깡 댓글 , 깡 뜻 , 깡 뮤비 , 깡 춤 , 깡 패러디 , 깡의 흥미로운 사실들

by 이슈뉴스 2020. 5. 22.

깡은 2017년 12월 1일에 발매된 비의 미니앨범 타이틀 곡으로, 길이 프로듀싱을 맡은 곡입니다

비는 그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새로운 스타일의 시도와 요즘 클럽에서도 유행할 수 있는 음악을 해보고 싶었다고 합니다.

춤 스타일도 새로 바꾸면서 연습하다 만성 근육통이 오기도 했으며 제목 '깡'은 앨범 작업 당시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최악의 조건에거 나온 노래라 '깡'으로 지었다"라고 합니다.

깡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그로테스크'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괴상하고 기이한 것, 또는 흉측하고 우스꽝스러운것.

예술 창작에서 인간이나 사물을 괴기하고 황당무계하게 묘사한 괴미"란 뜻입니다

까깡의 작사가는 길의 프로듀싱 팀의 매직맨션인데요 '개연성이 떨어지고 유치하다'는 것이

깡의 가사에 대한 주된 평가입니다. 깡의 가사를 요약하자면, 자산의 커리어를 자랑하다가

"갑자기 왜 화려한 조명이 날 감싸는지" , "왜 뜬금없이 너를 위해 춤을 추는지" , "불 꺼진 무대 위에 왜 혼자 남는지"

"대체 노래 제목은 왜 깡인지" , "설득력과 개연성이 모두 떨어지는 총체적 난국의 가사"라는 평가가 있습니다.

"이 노래는 너무 바쁘다, 머니 스웩도 뽐내야 하고 월드스타 스웩도 뽐내야 하고 무대 뒤 공허함을 가진 가수인데

사랑하는 그녀를 위해 노래함을 알려야 한다, 하나만 해라 하나만" - '깡' 댓글 中

BTS의 'DNA'는 2017년 9월에 발매된 곡으로, 12월에 나온 깡과 3개월 차이입니다.

비의 깡은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진 안무와 음악"이라는 것도 주된 평가중에 하나이며

RAIN스냅백모자, 꾸러기표정, 어깨뽕, 밀리터리방탄조끼, 꼬만춤은 깡 필수 5대 요소가 되었죠.

라디오스타 출연 당시 이시언은 비에게 레인모자와 방탄조끼좀 그만 입었으면 좋겠다고 조언을 하기도 했고,

안무는 '크럼프'를 시도했고, 특히 곡 마지막에 고릴라 가면을 쓰고 돌진하는 장면은 야수성을 표현하려 했다고 합니다.

"빈틈없이 촌스럽고 끊임없이 어긋났으며 쉴틈없이 안타깝다" ,

"하드웨어는 여전히 최고인데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생겼다" - '깡' 댓글 中

비의 10년차 진성팬은 "비 형을 위한 20가지 직언"이라는 댓글을 달았습니다.

재간둥이표정 금지, 입술깨물기 금지, 윙크 금지, 중간에 박수치면서 리듬타기 금지, 브뤳키다운 관객호응유도 금지

소리질러금지, 메잌썸노이즈 금지, 화려한 조명 금지, 레이번 썬글라스 금지, 꼬만춤 금지 등이 있습니다.

깡의 킬링 포인트는 단연 "화려한 조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깡 댓글 지분 중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비는 놀면 뭐 하지 출연 당시

"화려한 조명"만은 절대 포기할 수 없다고 밝혔고,본인의 동안 비결로 화려한 조명을 뽑기도 했습니다.

대한민국 감싸기 3대장으로 알루미늄 호일, 크린랲, 화려한 조명이 있습니다.

깡의 도입부와 곡 중간에는 '헌드레드 달러 빌'이라는 추임새가 반복됩니다

직역하면 '100달러 지폐'라는 뜻올, 왜 뜬금없이 10만원을 찾는지 의미를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화려한 조명의 가격이 100달러라는 설과, 김태희에게 용돈을 받기 위한 설계 등 여러가지 설이 존재합니다

특정한 발음이 다른 발음처럼 들리는 현상을 '몬더그린'이라고 합니다.

깡에서는 '헌드레드 달러 빌'이 한국 다람쥐, 한국사람 비, 한젓가락 플리즈로 들리는 몬더그린이 존재합니다.

유튜브에 한국 다람쥐를 검색하면 깡이 1순위로 나오기도 하죠.

작년 11월 여고생의 1일 1깡 커버 영상을 시작으로 깡 챌린지 열풍이 시작되었습니다.

해당 영상은 24초 길이의 티저 영상으로 조회수 264만회를 기록했고, 올해 3월 본편을 업로드하면서

이 영상 또한 조회 수 270만 회를 넘어섰습니다. 현재 조회수 100만을 넘어선 깡 챌린지 영상은

효크포크와 보물섬이 있으며 이외에도 꽝, 주부깡, 깡아지, 공기업 유튜브 충주시의 1일 1꿩 등이 존재합니다.

꽝이 밈화되면서 대중적으로 크게 알려지기 전인 2019년 부터 깡팸이 존재했습니다.

그 당시 깡팸 오픈 카톡방이 존재했었고, 규칙과 문화를 만들어 밈을 공유했으며 

종종 오프라인 모임 또한 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채팅방 이름은 '차에탄 깡따구'로 현재 채팅방 인원수는 400명을 넘어섰습니다.

1일 1깡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깡 뮤직비디오 영상은 깡뮤니티라는 하나의 커뮤니티가 형성되었습니다.

비의 영상을 전체화면으로 본다면 그건 깡러가 아니다. 깡은 보는 게 아니라 읽는 거다. 휴깡은 있어도 탈깡은 없다.

댓글을 메모장으로 사용하는 깡모장또한 존재합니다. 

현재 깡의 조회수는 950만, 댓글 수는 98,800개. 깡의 좋아요 수는 88,000개. 인기 댓글 1위의 좋아요수는 30만 입니다.

개콘이 폐지된게 깡 댓글 때문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웃긴 댓글이 많습니다.

깡 댓글 모음집 영상 유튜브 채널이 존재하며, 댓글 모음집 1탄은 250만의 조회수를 기록해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통계청 공식 계정에서는 'UBD'단위를 이용해 댓글을 남긴 게 논란이 되면서 사과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깡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깡고리즘을 통해 '차에타봐', '어디가요 오빠'라는 곡 또한 재조명을 받고 있습니다.

깡 - 차에타봐 - 어디가요 오빠 순으로 이어지는 정지훈 3부작이라 불리며 깡니버스를 형성했고,

깡 , 차에 타봐가 입문자 용이라면 어디가요 오빠는 숙련자용 곡이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차에 타봐는 국내 최초 발라드 노래중에서 가사에 쌍욕이 등장하는 노래인데요

차에 타봐에서 파생된 차에 타다라는 신조어까지 생겼으며,

너 차에 좀 타야겠다고 말하면 너 좀 맞아야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 삶은 깡을 알기 전과 후로 나뉜다. 그렇다고 전과 후의 차이가 있단 뜻은 아니다"